본문 바로가기
투자

ETF비교(3) 언택트 기술주- tiger 소프트웨어 vs kodex 미디어&엔터테인먼트

by 뿌슝이아빠 2020. 8. 22.

1. 들어가며

매일매일 테슬라가 신고가를 경신중입니다.
천슬라였는데 불과 몇 달만에 2천슬라가 되었습니다.
정말 3천슬라도 꿈이 아닐까요?
지금이라도 들어가야 되나 고민이 많습니다.
씨드가 없어 주식분할하면 그 때나 생각해볼 수 있을 듯 합니다.

애플도 연중 최고치입니다.
시총 2조 달러가 넘었다지요?
사우디의 국영 석유기업인 아람코에 이어 두 번째로, 이탈리아 GDP를 넘어서는 숫자입니다.
추가매수를 하고 싶은데 도무지 틈을 안 주는 애플입니다.

이렇게 언택트 관련 기술주들이 강한 면모를 보이는 요즘입니다.
애플을 비롯한 마소, 구글, 페북,아마존 등 나스닥 상위 기술주들이 시장을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애플 말고는 다들 횡보하고 있지만
코로나로 인해 “비대면 기술주” 가 대세가 될거라는 분위기가 팽배합니다.


2. 그럼 우리나라는?

애플, 마소 같은 투자할만한 기술주 회사가 없을까요?
10년 뒤, 20년 뒤에도 삼성전자가 우리나라를 떠받치는 형국일까요?

우리나라의 대표 언택트 기술주 회사라면
많은 사람들이 네이버와 카카오를 떠올리실 겁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뉴스를 보고, 메신저를 확인하고, 검색을 하고, 메일을 확인하고, 웹툰을 보고, 쇼핑을 하고, 은행업무도 보고....
우리의 삶과 가장 가까이 있는 두 회사입니다.

그래서 올 1분기에 주가가 많이 상승한 회사이기도 합니다.
그럼 어느 회사가 더 좋을까요?


우리나라는 카톡이 대세이니 카카오일까요?
일본에서는 라인을 쓴다는데 그럼 네이버일까요?
시총도 네이버가 51조로 32조인 카카오보다 앞섭니다.
그런데 카카오는 은행도 있는데... 엔터사업도 많이 진출해 있습니다.
흠..... 우리같은 일반사람들은 잘 알 수가 없지요?
둘 다 좋은 기업, 미래를 선도할 성장가능성이 풍부한 기업입니다.
결론은 둘 다 사버리면 걱정이 없겠습니다. ㅋㅋ

그래서 오늘은 우리나라의 대표 it기업인 카카오와 네이버를 담고 있는 etf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3. 타이거 소프트웨어


-추종지수: 에프앤가이드(FnGuide)가 발표하는 "에프앤가이드 소프트웨어 지수"를 추적대상지수로 함
-운용보수: 0.4%
-분배금: 2019년 1주당 25원

-보유종목: 카카오랑 네이버가 비슷한데, 합쳐서 56%정도, 엔씨까지 합치면 빅3가 76%정도입니다. 그 다음은 삼성sds로서 우리나라 게임, 소프트웨어 회사 위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4. 코덱스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추종지수: KRX IT소프트웨어
-운용 보수: 0.45%
-분배금: 2019년 1주당 15원

-구성종목: 카카오랑 네이버가 합쳐서 56% 정도, 엔씨까지 하면 72% 정도입니다. 그런데 넷마블 비중도 높아 4개 종목을 합치면 85%정도입니다. 소량이긴 하지만 cj에서 분할되어 퀄리티있는 드라마를 제작하는 스튜디오 드래곤과 jyp, 광고회사인 제일기획이 있어 엔터쪽도 투자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결론: 둘 다 카카오와 네이버는 비슷하게 들고 간다. 절반 좀더 이상... 3번이 엔씨소프트인것 까진 비슷, 그 다음부터 두 종목이 다르므로 여기서 판단을 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